의학정보

안면부 손상 (응급구조학과 강의록)

쭈쭈봉 2008. 8. 2. 12:01
 

*** 안면부 손상 (응급구조학과 강의록)

눈의 손상

                                  * 그림은 응급구조와 응급처치 책자 참조

1. 눈의 구조  (그림 21-1)

  안구

  누계

  상,하안검

1] 안구

   직경 2.5 cm 구형

   내부에 함유된 액체에 의해 안구 형태 유지

   안와골에 의해 보호

 [1]초자체 vitreous humor

   수정체 후방의 투명하고 젤리 같은 액체

 [2]방수 aqueous humor

    수정체 전방의 투명한 액체

    안구 열상시 투명한 액체의 일부가 유출 가능

 [3]각막 cornea

    안구의 전방 1/6을 둘러 싸고 있는 투명한 막 ( 빛 투과)

 [4]공막 sclera

    안구의 나머지 5/6 표면으로 치밀한 섬유성 조직의 구성

    일부 [전방]는 결막에 의해 덮여저 있음

 [5]결막 conjunctiva

    안검의 안내면과 공막의 일부를 덮는 점막

    안검이 움직이면 결막면이 서로 미끄러짐

 [6]홍채 iris

    각막의 후방, 수정채 전방에 위치한 환상형의 근육

    홍채 중앙(동공)으로 빛 투과

    수축과 이완으로 빛 투과량 조절

    색상이 있다. 갈색, 녹색, 청색

 [7]동공 pupil

   홍채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빛을 통과

 [8]수정채 lens

   홍채의 후방에 위치

   사진기의 렌즈 역할

   모양체 근에 의해 두께 조절.

 [9]망막 retina

   안구의 가장 후방에 위치

   형상과 색상감지 (시신경-> 뇌)

 [10]맥락막 choroid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

   망막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 분포

2.] 누계   lacrimal system (그림 21-2)

    누선 -눈물을 생성하여 결막의 건조 방지

          큰누선 (상안검 밑) 작은 누선 (결막)

    누관 -상하안검을 따라 눈의 내측에 위치

          눈물을 비강으로 유출

    눈물 :결막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윤활유 역할

          눈의 표면으로 부터 이물질 제거

3] 상하안검

    이물질이나 충격으로 부터 눈을 보호

    내측면은 눈물에 의해 젖어 있는 결막으로 덮힘

    상안검 거근   제 3 뇌신경 지배

    안륜근        제 7 뇌신경 지배


2. 눈의 손상

  @응급 처치

   -손상된 정도와 특성을 신속히 파악

   -이학적 검사로 손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의

   -통증감소 , 영구적 실명 방지

  @안검의 열상 출혈 , 부종 등을 관찰

  @안구가 정상인지 검사

      각막 검사: 각막의 매끈하고 촉촉한 고유 특성 상실

                  시력감소 및 소실

  @시력검사

     손가락을 따라서 안구가 움직이는지 확인

  @양측 동공 크기 비교, 동공 대광 반사검사


1] 눈의 이물질

 @증상

   작은 자극에도 결막은 충혈, 염증을 일으킴

   이물질을 씻어내기 위해 눈물 생성 ,분비 증가

   결막 자극에 의해 이물감과 동통 유발

   밝은 빛에 의해 자극이 증대되어 눈을 감게 됨

 @응급처치

   [1] 안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그만 이물질(-> 결막 및 각막 상처 발생 가능)

      생리 식염수로 지속적 세척 ( 500- 1000cc)

   [2]각막에 밀착되었거나 결막 하부에 위치한 이물질

      (->생리 식염수로 제거 불가능한 경우 많음)

      제거를 위해 무리한 행위 금지 ->이송

     상하안검 내부 이물질

      안검을 뒤집어서 면봉을 생리 식염수로 적셔 이물질을 제거

   [3]안구를 관통한 날카로운 이물질

      손상상태 그대로 보존하면서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

      손상부위 오염 방지, 이물질 위치 변동 방지 -> 소독된 거즈와 붕대로 덮고

      안구 보호 장치로 덮은 후 고정

      손상되지 않은 눈도 덮어서 안구 운동 최소화

   [4]양안 가려진 환자

      외부를 인지 할수 없어서 심리적으로 불안 ( 특히 소아 )

      몸부림치거나 흥분하면 손상이 악화

      눈을 가리기 전에 양안을 가리는 이유를 설명하고 환자를 안정시킴


2] 눈의 화상

   @응급처치의 목적 : 악화 및 조직 손상 진행 방지

   @종류 ; 화학 화상

           열화상

           빛 화상

[1] 화학 화상

  @ 산성 알칼리 성분에 의해 손상

  @유일한 응급처치

    수도물 , 생리 식염수로 지속적 세척

         (가능하면 이송중에도 세척-> 소독된 거즈로 덮고 이송)

  @ 세척 방법

     환자의 머리를 수도꼭지 아래에 위치 시켜 세척

     그릇에 얼굴을 담그고 깜빡거리게 하여 세척

  @세척 시간 5분이상,

     알칼리 성인 경우 최소 20 분이상

   @주의 사항 세척된 물이 정상적인 눈에 흘러들어가지않도록


[2]열화상

  @원인 : 뜨거운 물, 불에 의한 안면 손상

  @안검 화상

     소독 거즈를 생리 식염수에 적셔 양안 덮고 이송

     더 이상의 진단이나 응급 처치는 금기

[3.] 빛 화상

 @태양빛 (적외선) 레이져

   망막에 위치하는 지각세포 손상으로 실명

   환자가 동통을 호소하지 않으나 영구적 실명 가능

 @용접기, 햇빛, 설원에서의 자외선 노출

   표재성 화상이 유발

   처음에는 무통--> 3-5 시간후에 각막손상 진행으로 극도의 통증, 발적, 부종, 눈물

   소독된 거즈를 생리식염수에 적셔서 덮고 이송


3] 눈의 열상과 둔상

 [1]열상

   @응급처치 원칙

     1. 눈에 압박을 가하거나 조작하는 것 금기 (혈액 공급 저하로 망막 손상)

     2. 안구의 일부가 노출된 경우 건조를 방지

       소독된 거즈로 생리 식염수로 적셔서 덮고 이송

     3. 거즈로 덮은 후 안구 보호 장비로 덮고 이송

     4. 정상적인 안구도 소독 거즈로 가려서 보호

   @안검 열상

     손으로 살며시 안검을 압박하여 지혈

   @안구가 외부로 돌출된 손상

     안구를 원위치 시키기 위한 조작은 금기-> 누운 자세로 신속히 이송


[2] 둔상 (그림 21- 7)

   @외부의 육안적 손상 없이도 내부적 손상 가능

   @전방 출혈 (수정체 전방의 출혈)

      홍채의 일부 또는 전체가 불명확

   @안와골 골절

      안구 운동 제한, 복시 통증, 시력 감소

      안구 운동 근육 기능 저하

    @응급 처치

      거즈 안구 보호 장비로 양안을 덮은 후 이송


3. 두부 손상과 연관된 안구 손상

  @두눈을 검사하므로서 두부 손상의 가능성 예측

    두부 손상을 암시하는 증상 및 징후

      1. 한쪽 동공이 다른 쪽 보다 큰 경우

      2. 개안시 양측이 동시 에 떠지지 않는 경우

      3. 안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4. 안구 운동이 일부 제한되는 경우

      5. 각막 내부에 출혈이 관찰되는 경우

         한쪽 안구 가 돌출 되거나 부풀어 오른 경우


  @관찰된 사항을 정확히 기록 ( 관찰된 시간 포함)

  @의식장애 환자

    계속 눈을 뜨고 있으면 각막이 건조, 손상

    생리 식염수로 적신 소독 거즈로 덮어서 보호


4. 큰택트 렌즈와 인공 안구

1] 콘택트 렌즈 (그림 21-8)

 [1]투명하여 육안적으로 착용 여부 판정 불가능

    (의식이 있는 경우 착용 여부를 반드시 질문)

 [2]일반적으로 눈의 손상시 제거하지 말고 이송

    병원 도착후 의료진에게 통보

    제거시 이동시간 지연, 렌즈 조작으로 손상 악화

 [3]렌즈 제거가 필요한 경우

    화학 물질에 의한 화상

    거리상 이동시간이 길어질 경우

    (의식장애 환자가 장시간 착용시 각막 건조 손상)

 [4]처치 : 경성 렌즈 -> 안구 흡입자 이용

          연성 렌즈-> 생리 식염수 점적후 엄지와 검지로 제거


2] 인공 안구

    한쪽  안구가 전혀 동공 반사가 없는 경우 의심

      (의식이 있는 경우 반드시 착용 여부 질문)

    정상 안구와 같이 움직이는 인공 안구는 식별 곤란


얼굴과 인 후두의 손상  

                                  *그림은 응급구조와 응급처치 책자 참조


1. 안면 손상

  @일부 손상은 치명적

  @가벼운 손상이라도 외형적으로 추한 흔적

  @안면 손상의 충격이 간접적으로 전달-> 경추 손상의 동반 가능성

  @응급 처치-> 안면과 경부 손상을 동시에 치료

  @종류 1] 연부 조직 손상

         2] 코의 손상

         3] 안면골 손상

  @안면 손상시 상기도 폐쇄 기전

        1] 구강내 출혈, 손상된 치아에 의한 폐쇄

        2] 입과 코의 손상이 기도에 심각한 변형 초래

        3] 연부 조직 창상에 의한 부종이 기도 폐쇄

        4] 의식장애시 두부가 굴곡, 회전되어 기도 폐쇄

        5] 후두, 기관의 손상에 의한 출혈과 부종

        6] 뇌손상 동반시 뇌손상에 의한 호흡 기능 장애


1] 연부 조직 손상

  @대부분 국소적 부종이나 혈종 동반

  @가벼운 안면 찰과상도 추한 반흔 초래

  @혈액 공급이 풍부, 작은 손상으로도 대량 출혈 가능

  @응급 처치 : 다른 연부 조직 손상과 동일

  @부종은 차가운 찜질

  @ 출혈 부위는 소독 거즈로 덮고 압박하여 지혈

  @손상 종류별 응급 처치

     a.두피열상에 의한 출혈 -> 소독된 거즈로 덮고 탄력 붕대로 압박

     b.개방성 두개 골절이 의심되는  경우 -> 지나친 압박은 금기

     c.일반적 관통 손상

        이물질을 제거하려는 시도는 금기 (손상 악화 우려)

        이물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

   d.뺨의 관통 손상

      뺨만 관통 손상

       뺨만 관통한 이물질을 현장에서 제거

       출혈 방지,. 안쪽과 바깥쪽에 소독 거즈로 압박

  @구강내 출혈 여부 검사

     치아 골절, 혀의 열상은 대량 출혈 가능

     출혈은 흡입기나 거즈로 신속히 제거

     대량 출혈 및 의식장애시 -> 출혈시 기도로 흘러 호흡 장애 유발 가능

  @경추 손상의 동반 가능성

     기도 유지를 위한 경부의 과신전은 금기

     환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발견된 경우

        ->경부고정후

           log roll방법으로 환자를 앙와위로 반듯하게 누운 자세로 한후

           기도 확보


   @안면의 피부나 연부 조직 결손

      환자 주위에 결손된 조직이 있는지 확인

      결손된 조직

       - 소독된 거즈로 싸서

       -비닐 주머니에 넣고

       -비닐 주머니는 얼음물에 담그거나

          차가운 상태로 유지후 함께 이송--병원에서 접합 수술

   @피부판-일부분은 정상적인 피부와 연결되고 대부분 피하조직과 분리된 손상

           응급 처치

             피부판을 원위치-(피부판과 함께 혈관이 꼬이지 않도록)

             소독 거즈로 덮고 탄력 붕대등으로 감는다.


2] 코의 손상


 [1] 코의 연조직 손상

     콧등에 얼음찜질

      양쪽 콧구멍을 압박하여 지혈

      상부 입술과 잇몸 사이에 거즈 삽입하여 압박

       --> 코로 공급되는 혈관 압박

  [2]비강내 이물질

     -심한 통증과 출혈 가능

     -완전한 기도 폐쇄는 유발하기 어려움

      불충분한 장비로 이물질 제거 시도는 금기 -> 즉시 병원으로 이송


3] 안면골 골절

  @ 주로 둔탁한 충격에 의해 발생

  @비골, 안와골, 상악골, 하악골 치아에 골절

  @기도 폐쇄 가능성

    안면골의 변형, 유리된 골절, 부종 및 출혈

  @안면골 골절을 의심할 수 이서는 증상과 징후

     부정 교합 (입을 다물었을 때 치아 배열이 불규칙)

     치아 결손이 나 손상

     침을 삼키지 못하거나 말을 할 수 없는 상태

     구강내 과도한 타액이나 구강내 출혈

     안면골이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경우

  @응급 처치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도가 폐쇄하지 않도록 주의

       지속적으로 기도 유지 여부 관찰

       이송 중에도 기도 확보

     -기도 폐쇄를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기도기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기도 확보


2.인후두부 손상

  @목의 연조직 손상

     심한 출혈 및 부종으로 기도 폐쇄 가능

       가장 중요한 것은 기도 확보

       출혈은 소독 거즈로 압박하여 지혈

       반드시 경부 고정 시행

  @목, 인후두부로 이물질이 삽입된 경우

      이물질을 그대로 고정후 이송

      수술실 이외의 장소에서 제거 시도는 금기

  @인후두 기관의 손상 (운전자 사고, 구타 사고, 자살에서 관찰)

     -기도 폐쇄 가능

     -증상- 목소리 변성, 언어 구사 불능

            목의 피하 기종

            기도 폐쇄 증상 및 징후

     -응급 처치 : 기도 유지

                 산소 투여

                 경부 고정

                 신속한 이송

 

201. Ocular emergencies

    chemical burn ( <- immediant irrigation)

    acute central retinal a. occlusion

     --> need to stimulate perfusion within the first 90 min of obstruction.

(1) eye examination

  * history

     trauma, ocular/periocular surgery, eye-related problem, use of glasses,

     contact lenses ( if soft lens, how long extended wear usage )

     trauma인 경우 빛에 대한 눈부심 여부  -> retinal detachment 의심

     systemic ds.

  * physical exam

    I. visual acuity

    ii. lids/ocular adnexa

    iii. pupils -> pupillary light response

    iv. motility -> ROM of the eyes

                   CN III. IV. VI

                   DM, intracranial aneurysm/tumors intraorbital masses

                   M.G, Demyelinating ds., intracranial inf. ds.

                   Sphenoid sinusitis, trauma

    v. ant. segment -> the cornea, conjuctiva, ant. chamber, iris, lens : slit lamp

    vi. IOP : normal= 10-21 mmHg

       -> hyphema, iritis, ruptured globe, wound leak after surgery 때 증가.

        ; Goldmann applanation, Schiotz tonometry

    vii. fundus -> optic n.,  retina, retinal vessel

           ; 1% tropicamide ( mydriacyl ) & 2.5% phenylephrine

                                   ( Neo-Synephrine )

           ; CIx -> iris - supported intraocular lens

                    untreated narrow angle glaucoma

    viii. orbit

         orbital symm. & proptosis

                  ; orbital floor or wall Fx. <- blunt trauma

                    palpation of the orbital rim

                    checking for entrapment

                    skull AP , Water's, CT (coronal cuts )

(2) tramatic ocular emergencies.

     * blunt trauma

      I. subcon junctival hemorrhage

        caused by disruption of a bl. vessel

        if intact globe--> no Tx.

        if it is a recurrent spontaneous, consider coagulopathy or HT.

     ii. corneal abrasions

     Sx ; severe pain, tearing & blepharospasm

     topical anesthetic ( tetracaine, proparacaine )

     fluorescein 사용 : couneal epithelial cell 이 damage를 입었는지 알수 있다.

  " clean abrasion"


    1 cycloplegic drop (dilates pupils & relaxes any ciliary body spasm that

                          can cause a deep ache )

      1% cyclopentolate or 5% homatropine ( useful in dark -eyed pt. ) instill one drop

    2 antibiotic ointment - several choices

         tobramycin

         gentamycin

         bacitracin/ polymixin ( polysporin )

    3 tape lid closed

    4 light pressure dressing ( two eye pads )

    5 reexamine in 24 to 36h or refer to an ophthalmologist

    6 never prescribe topical anesthetic - repeated use leads to corneal epithelial

                             breakdown. ulceration & potential blindness

    7 oral analgesic if needed

  " dirty abrasion "

    1 cycloplegic

    2 frequent broad - spectrum antibioeic drops ( every 1 to 2 h. while awake )

    3 no patching

    4 reexamine in 24 to 36h or refer to an ophthalmologist

    5 oral analgesic if needed

 iii. contact lens - related abrasions corneal ulcer를 항상 유의

       pseudomonas -> lens - related bacterial ulcers

                        should not be patched

       culture & frequent topical antibiotics

 iv. external foreign bodies

   " foreign bodies of the conjunctiva "

      removed under topical anesthetic by asterile cotton-tip with saline

      superior tarsal ptate is acommon lodging spot

      topical antibiotics drops

   " foreign bodies of the cornea "

      under slit lamp control to assess the depth of the foreign body

      the rust ring ( metalic foreign body containing iron ) by a spud or burr

      -> 18-36hr. 에 가장 잘 제거되기 때문에 다음날 다시 rust ring을 제거한다.

   “ cyanoacrylate ( Super - Glue,  Krazy - Glue ) removal

      ; immediate copious irrigation ( within 15min of the splash ) of the lids & eye

        with warm water for a minimum of 15 min

        -> 아교를 soft하게 하기 위해서 mineral oil을 eyelid adhesion에 사용할 수 있다

  v. trauma to the iris

    " traumatic iritis "

      Sx; pain (adeep ache ), headache, photophobia, epiphora

      Dx; slit lamp -> ciliary injection & flare & cells in the ant. chamber

      Tx; topical cycloplegics ( 1% cyclopentolate or 5% homatropine 1 ggt tid )

          avoid long acting scopolamine & atropine

   vi. blow out Fx

       the thinnest part of the orbital w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