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정보/NS

의학강좌/파킨슨 병의 수술적 치료

쭈쭈봉 2008. 3. 18. 10:35
의학강좌/파킨슨 병의 수술적 치료

파킨슨 병(Parkinson disease)은 1817년 James Parkinson에 의하여 처음 기술된 질환으로 알츠하이머 병(Alzheimer disease)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중추신경계 의 퇴행성 질환이다(1). 특징적으로 흑질 치밀층(substantia nigra compacta)에서 기원하여 선조체(corpus striatum)로 신경 돌기를 뻗는 도파민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가 서서히 진행하게 되면서 파킨슨 병의 증상들이 발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파킨슨 병의 발 병 원인이나 기전에 대하여는 밝혀진 바가 없어 파킨슨 병 은 예방적 혹은 근치적 치료를 기대할 수 없는 중추신경계 의 퇴행성 질환이다. 흑질 치밀층(substantia nigra compacta) 도파민 세포의 점차적 소실에 의한 도파민 결핍이 파킨슨 병의 증상을 유발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어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2). 파킨슨 병의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는 약물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는 데 두 가지 치료는 상호 보완적으로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 켜 왔다. 1940년대 후반 이후 정위 수술 기법이 발전하면서 수술적 치료가 활발해 졌으나 1960년대 말에 L-dopa 약제 가 개발되면서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던 수술적 치료는 쇠퇴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L-dopa 약제를 장기 복용 후 발 생하는 이상운동증(dyskinesia), 운동 기복(motor fluctuation)및 L-dopa 약제의 장기 과다 복용에 의한 합병증(위장 장애, 정신 장 애) 등으로 L-dopa 약물치료만으로는 더 이상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어 렵게 되었다. 반면 컴퓨터 공학의 발전 과 더불어 뇌전산화 단층촬영(brain CT)과 뇌핵자기 공명 단층촬영(brain MRI)이라는 새로운 뇌 영상 기술의 개 발과 수술 기법의 발달로 정위 수술이 높은 정확도와 낮은 합병증을 보이게 되었고 파킨슨 병 환자와 파킨슨 병 동 물모델에서 많은 전기 생리학적 지식을 얻게 되었다